GitHub

[Git] 폴더 및 bash 명령어

simstealer 2022. 4. 20. 10:48

○Git 폴더

- .git 내, 있는 폴더들의 사용 용도를 파악한다.

1. objects 폴더

 - 커밋 내용들의 변경 사항이 저장되어 있음.

2. config 파일

 - 환경 설정 파일.

3. HEAD 파일

 - 말 그대로 HEAD가 위치한 해쉬 값이 들어 있음.

4. ref 폴더

 - 내부에는 heads, remotes, tags의 폴더가 존재.

4-1. heads

 -  생성된 브랜치 파일들이 있음(main 등..)

4-2. remotes

 - 원격 저장소의 올려져 있는 브랜치 파일들이 있음(main 등..)

4-3. tags

 - branch를 tag한 파일이 위치함.

 

○Git bash 명령어

git init - 레파지토리 생성(처음 .gi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어야함)
git status - 레파지토리 상태 확인
git add [file] - staging 영역 추가

git commit -m [commit 할 이름] - 커밋
git restore [file] - 파일를 수정 하기 이전으로 돌아감
git log - 그래프를 보여줌

    - git config --global alias.adog "log --all --decorate --oneline --graph"
git tag [one_tag] [ones] - 테그 생성 git tag [테그 명][테그할 브랜치명]
git config --global alias.adog "log --all --decorate --oneline --graph"
git config - 환경설정

 - $ git config --local user.name "name"
 - $ git config --local user.email "email"